Search
TOP

정책연구자료

    정책연구자료
    ‘정책연구자료’는 도시와 농촌이 상생하는 지속가능한 사회실현을 목표로 민·관이 진행되는 각종 연구, 외부 기관의 자료와 정책 자료 등을 올리는 공간입니다.
    자료검색의 편의성을 고려해 ‘지역활성화·사회혁신’, ‘먹거리정책·푸드플랜’, ‘자치분권·주민자치’, ‘사회적경제’, ‘농정개혁·농업, 농촌혁신’, ‘농협개혁·협동조합’ 등의 영역으로 구분해서 자료를 게재합니다.
    (※하단 검색 창에, 희망하는 영역을 입력하시면 자료 찾기에 도움이 됩니다. 자료를 인용할 때는 해당 기관의 출처를 반드시 밝히기 바랍니다.)
    [먹거리정책·푸드플랜] 공공급식 활성화를 통한 먹거리보장 강화 방안 연구(농특위, 2022)
    • 작성일2022/04/04 09:37
    • 조회 1,128
    [먹거리정책·푸드플랜] 공공급식 활성화를 통한 먹거리보장 강화 방안 연구(농특위, 2022)

    주요목차
    제2장  공공급식 추진 체계 및 현황 
    제3장  급식지원센터의 공공급식 추진 및 거버넌스 운영 실태 
    제4장  해외 공공급식 사례
    제5장  공공급식 활성화 방안

    주요 연구 결과
    ○ 공공급식 추진 체계 및 현황
    - 공공급식의 개념에 대해서는 사전적, 학문적, 법률적, 정책적 개념 등 다양 한 시각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정책적 개념을 도입한 황윤재(2019)의 공공급식의 개념을 사용하여, 정책적 관점에서 공공급식의 개념·범위를 설 정하여 포괄적으로 접근
    - 공공급식 정책은 다수의 정부부처들이 각각의 소관 법령을 통해 급식 관리· 운영, 품질·안전·위생, 건강·영양, 식재료 이용, 계약·구매 대행 관리
    -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공공급식 관련 조례 제정이 급증하고 있으나, 국가단위 에서의 공공급식 법령은 부재

    ○ 급식지원센터 운영 현황
    - 전국 116개 지자체(광역 6개 포함)에서 128개 급식지원센터 운영하고 있 으며, 초중고 학교 및 어린이집․유치원 대상 식재료 공급
    - 경상북도 및 전라북도는 대부분 기초지자체에서 급식지원센터를 운영하는 반면,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및 충청북도는 급식지원센터를 운영하지 않 거나 1~2개 지자체만 운영하는 등 지자체별 급식지원센터 운영 현황이 차 이가 큼

    ○ 급식지원센터 공공급식 추진 실태
    - 급식지원센터별 설립․지원 근거인 지자체 지원조례 및 명칭 상이
    - 급식지원센터 운영 주체는 지자체 직영, 재단법인 설립에 따른 지정, 위탁 형태로 구분되며, 민간 업체 위탁 시 위탁 기간은 2~5년
    - 급식지원센터는 식재료 공급 업무를 중심으로 조직 및 인력을 구성하며, 사 업 영역에 따라 조직 구성 체계가 다름
    - 급식지원센터 연계 조직은 지자체, 생산자, 식재료 공급업체 등임
    - 급식지원센터는 사무실, 상품화 시설, 물류장, 저온창고 및 배송차량을 사용 하고 있으나, 급식지원센터별 규모의 차이가 크고, 일부 급식지원센터는 자 체 소유가 아닌 시설․장비 사용에 대한 비용 발생
    - 급식지원센터는 대부분 학교급식 관련 자체 또는 외부 수발주 프로그램을 사용하며, 학교급식 외 공공기관 수발주는 별도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함

    ○ 급식지원센터 거버넌스 운영 실태
    - 급식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공통적인 민관 거버넌스는 급식지원센터 운영위 원회 및 가격 결정 분과위원회이며, 그 외 민관 거버넌스 운영은 급식지원센터별 차이가 큼
    - 민간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자체의 관심과 지원, 먹거리 관련 민간 네트워크 조직 양성 및 연계, 거버넌스 참여 위원 대상 교육, 거버넌스 운영 횟수 증대와 다양한 거버넌스 운영, 지역 푸드플랜에서 제시된 거버넌스 구 성 및 운영 계획 실행, 우수 민관 거버넌스 사례 발굴 및 전파 등이 필요하 다고 제시함

    ○ 공공급식 활성화 방안
    - 공공급식 정책 및 제도적 개선을 위해 1) 범정부 차원의 공공급식 컨트롤타 워 마련 , 2) 공공급식 식재료 조달 기준 설정, 3) 공공급식 식재료 코드 표 준화 및 통합 플랫폼 운영, 4) 공공급식 예산 체계 일원화, 5) 공공급식 통 계 및 R&D 강화, 6) 공공급식 활성화를 위한 지방계약법 개정, 7) 공공급 식 활성화를 위한 가칭 ‘공공급식법’ 제정
    - 먹거리통합지원센터 운영 효율화 지원 관련 1) 공공급식 기본 모델 정립, 2) 도시 지역 먹거리통합지원센터 설치 지원, 3) 공공급식 통합 수발주 프 로그램 개발, 4) 먹거리통합지원센터 투명성 확보, 5) 먹거리통합지원센터 운영 자격제도 도입, 6) 먹거리통합지원센터 기능 및 역량강화 교육 운영, 7) (가칭) 공공급식 식재료 가격지수 개발 운영
    - 공공급식 거버는스 강화를 위해 1) 지자체 공공급식 표준 조례(안) 마련, 2) 공공급식 거버넌스 가이드라인 개발 및 관계자 교육, 3) 공공급식과 먹거리 돌봄의 연계 강화

    본문 첨부파일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