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OP

정책연구자료

    정책연구자료
    ‘정책연구자료’는 도시와 농촌이 상생하는 지속가능한 사회실현을 목표로 민·관이 진행되는 각종 연구, 외부 기관의 자료와 정책 자료 등을 올리는 공간입니다.
    자료검색의 편의성을 고려해 ‘지역활성화·사회혁신’, ‘먹거리정책·푸드플랜’, ‘자치분권·주민자치’, ‘사회적경제’, ‘농정개혁·농업, 농촌혁신’, ‘농협개혁·협동조합’ 등의 영역으로 구분해서 자료를 게재합니다.
    (※하단 검색 창에, 희망하는 영역을 입력하시면 자료 찾기에 도움이 됩니다. 자료를 인용할 때는 해당 기관의 출처를 반드시 밝히기 바랍니다.)
    [지역활성화·사회혁신] 인구감소시대 지방중소도시의 지역재생 방안 (2020. 국회입법조사처)
    • 작성일2020/09/16 11:13
    • 조회 1,027
    [지역활성화·사회혁신] 인구감소시대 지방중소도시의 지역재생 방안 (2020. 국회입법조사처)
    *국회입법조사처에서 발행하는 '입법·정책보고서 제48호(2020.6)'에 게재된 글입니다.

    요약


    - 2019년 통계청이 발표한 인구추계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인구는 2028년 5,194만 명을 정점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출산율은 세계최하위 수준을 기록하고 있어 인구감소는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되고있다. 

    - 이 연구에서는 인구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방의 중소도시 활성화를 위한 지역재생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구가 감소하는 지방중소도시의 인구감소 양상과 쇠퇴현황 및 원인을 살펴보고, 이미 인구감소를 경험한 일본의 인구감소 대응을 위한 입법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지난 10년 간 인구가 5% 이상 감소한 12개의 지방중소도시를 대상으로 인구감소의 양상을 살펴보고 쇠퇴현황 및 원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가 감소하는 지방중소도시 인구감소의 특징은 유소년인구 및 생산가능인구의 급격한 감소와 고령인구의 증가이며, 인구의 감소는 자연감소 보다는 인구유출에 기인하고 있었다. 인구가 감소하는 지방중소도시의 쇠퇴원인은 크게외곽지역 개발로 인한 원도심 쇠퇴, 산업구조 변화, 고령화 및 물리적 노후화로 구분할 수 있었다. 특히 12개의 대상 도시 모두 인구유출로 인한 원도심의 기능 약화 및 쇠퇴가 도시전체의 쇠퇴에 영향을 미쳤다.

    - 이 보고서는 인구가 감소하는 지방중소도시의 지역재생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인구감소지역의 활성화를 지원하는 법률의 제·개정이다. 우선, 인구가 감소하는 지방중소도시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지원하는「(가칭)인구감소지역의 활성화를 위한 특별법(안)」을 제정할 수 있다. 해당 법안에 지속적인 지역의 성장을 위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계획 수립과 각종 행정·재정·세제 등 지원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국가균형발전 특별법」에 인구감소지역의 지원 관련 규정을 신설하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다. 인구감소지역의 정의, 선정기준 및 지원내용을 담은 별도의 조항을「국가균형발전 특별법」에 신설하여, 이를 근거로 인구감소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둘째, 지방중소도시 원도심의 기능 강화 및 활성화 방안 마련이다. 원도심 쇠퇴가 지방중소도시의 주요 쇠퇴 원인이므로, 노후한 원도심의 물리적 환경개선, 유휴공간의 효율적 활용 방안 마련, 원도심 활성화 지구 지정 등 원도심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여 지역재생을 도모할 수 있다. 청년인구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노후 주거지를 정비하여 양질의 저렴한 청년주택을 공급하고, 원도심의 유동인구를 증가시키기 위해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공원·공공문화센터·공공도서관·공공의료시설·육아지원시설 등을 조성하거나, 창업을 기반으로 한 청년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도록 창업 지원 시설을 조성할 수 있다. 재원이 부족한지방중소도시의 여건을 고려하여 원도심 활성화 사업을 도시재생 뉴딜사업·스마트챌린지·로컬 크리에이터 지원 사업 등 국비지원 사업과 연계하여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관련 법률의 제·개정을 통해 원도심 활성화 지구를 지정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