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농상생 모델 주목 ‘채소꾸러미사업‘ | 장상환 경상대 교수
- 작성일2020/03/05 11:48
- 조회 491
도농상생 모델 주목 ‘채소꾸러미사업‘
| 장상환 경상대 교수
세계적 식량위기에 따른 식량가격 폭등과 수입농산물의 식품안전성 위협 고조 등으로 로컬푸드 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우리는 그동안 싼 가격과 언제든지 필요한 것을 구입할 수 있는 편리함에 이끌려 글로벌 식품 체제에 의지해왔다. 지난해 10월 4~5일 세명대 저널리즘스쿨에서 전국의 20세 이상 남녀 270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농산물의 주요 구입처는 ‘대형마트’ 57.5%, ‘재래시장’ 25.3%, ‘동네 채소가게’ 8.3%, ‘텃밭이나 부모님 등 개인적으로 조달한다’가 3.2%로 나탔났다.
제철 농산물로 건강한 식생활
그러나 글로벌 식품체제는 이제 한계에 도달했다. 곡물 메이저 기업, 다국적 식품산업 등이 세계시장을 대상으로 먹을거리를 생산하면서 식품안전, 곡물투기, 식량안보, 환경과 지역경제 파괴, 유전자조작 논란 등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켰다. 농산물의 대량생산과 대량 원거리 수송과 보관에는 막대한 에너지가 소요되는데 석유가격이 크게 올라갔고, 일본 지진해일 여파로 원자력 에너지도 엄청난 재앙을 안고 있는 비싼 것임이 입증됐다. 비만과 성인병 증가, 아토피, 성 조숙증 확대를 겪는 소비자들은 농약, 성장촉진 호르몬 등 갖가지 첨가물이 들어 있는 수입 외국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글로벌 푸드에 대항하는 로컬푸드 운동은 농민들이 생산한 먹을거리를 가능한 한 그 지역 안에서 소비해 먹을거리의 이동거리를 줄이면서 생산자와 소비자의 관계도 맞대면으로 바꿈으로써 ‘식품 안전’과 ‘가격 안정’을 보장받자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생협운동, ‘채소 꾸러미’사업, 도시 농업, 도농 직거래 등 다양한 형태로 로컬푸드 운동이 전개돼왔다.
최근 주목되는 것이 ‘채소 꾸러미’ 사업이다. ‘채소 꾸러미’는 사업단별로 수백에서 수천명의 소비자 회원을 대상으로 회원농가에서 생산된 채소, 과일, 발효식품, 달걀, 간식거리, 음료, 두부, 각종 가공식품 등으로 짜여 진다. 매주 받는 경우 6만~10만원, 격주는 3만~5만원이다. 현재 ‘채소 꾸러미’사업을 하고 있는 곳은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과 전국여성연대가 벌이는 ‘언니네텃밭’, 사회적기업 흙살림의 ‘유기농 흙살림’ 전북 완주시와 로컬푸드 영농조합법인 건강한 밥상의 ‘건강밥상 꾸러미 사업’, 강원도 춘천시의 ‘생명이 꽃피는 밥상 사업’ 등이 있고, 전국적으로 계속 확산되고 있다. 완주시 ‘건강밥상 꾸러미 사업’은 작년 10월 114명 회원으로 사업을 시작했는데 3월 말 회원 수가 2500명으로 늘었다. 행정안전부, 농림수산식품부와 지방자치단체들에서도 ‘농산물 꾸러미 사업’을 도농상생의 유력한 모델로 보고 확대에 노력하고 있다.
지역 농가경제 활성화 기여
채소 꾸러미 사업의 장점은 많다. 첫째, 생산자들을 알고 믿을 수 있는 지역의 제철 농산물과 전통 먹을거리를 제공받고 건강한 식생활을 할 수 있다. 둘째, 유통거리가 단축돼 저렴한 가격에 믿을 수 있는 먹을거리를 얻을 수 있다. 일반 농가에서 마트로 진열될 때까지 4~5곳의 유통경로로 농가 판매가격에 비해 마트의 소비자 구입가격은 2~3배에 달하는데 채소 꾸러미사업은 운송비와 관리비가 최소한으로만 소요된다. 셋째, 매주 1~2시간이 넘는 장보기 시간을 줄여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넷째, 환경 파괴를 줄인다. 다품종 소량생산이고 수송거리가 짧으니 에너지 소비가 적다. 다섯째, 지역 농가경제도 살릴 수 있다. 친환경 농법을 이용해도 판매할 곳이 마땅히 없었고, 할아버지 할머니가 소일거리로 직접 기른 채소나 과일은 양이 적어서 팔 곳이 마땅치 않았는데 채소 꾸러미 사업에 참여하면 지자체와 영농조합법인에서 판매처를 주선해주니 마음 놓고 농사짓고 소득을 올릴 수 있다.
농산물 양 안정적 확보 과제
향후 채소 꾸러미 사업의 안정적 발전을 위해서는 먼저 소비자가 원하는 농산물을 직접 선택해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소비자 연령별, 기호별 요구 조건을 수렴해 다양한 꾸러미 내용을 제공하는 등 소비자의 요구에 더욱 잘 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늘어날 주문량에 부응해 필요한 안전한 농산물 양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도 쉽지 않은 과제다. 유기능 인정을 강화하고 계약재배 방식 등을 모색해야 한다. 지역의 농민단체들과 시민사회단체들은 지방자치단체와 지역 대학 등과의 협력을 강화해서 모처럼 조성되고 있는 유리한 농업회생 기회를 잘 활용해야 할 것이다.
* 이 글은 한국농어민신문 2011년 제2332호에 실린 내용입니다.
| 장상환 경상대 교수
세계적 식량위기에 따른 식량가격 폭등과 수입농산물의 식품안전성 위협 고조 등으로 로컬푸드 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우리는 그동안 싼 가격과 언제든지 필요한 것을 구입할 수 있는 편리함에 이끌려 글로벌 식품 체제에 의지해왔다. 지난해 10월 4~5일 세명대 저널리즘스쿨에서 전국의 20세 이상 남녀 270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농산물의 주요 구입처는 ‘대형마트’ 57.5%, ‘재래시장’ 25.3%, ‘동네 채소가게’ 8.3%, ‘텃밭이나 부모님 등 개인적으로 조달한다’가 3.2%로 나탔났다.
제철 농산물로 건강한 식생활
그러나 글로벌 식품체제는 이제 한계에 도달했다. 곡물 메이저 기업, 다국적 식품산업 등이 세계시장을 대상으로 먹을거리를 생산하면서 식품안전, 곡물투기, 식량안보, 환경과 지역경제 파괴, 유전자조작 논란 등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켰다. 농산물의 대량생산과 대량 원거리 수송과 보관에는 막대한 에너지가 소요되는데 석유가격이 크게 올라갔고, 일본 지진해일 여파로 원자력 에너지도 엄청난 재앙을 안고 있는 비싼 것임이 입증됐다. 비만과 성인병 증가, 아토피, 성 조숙증 확대를 겪는 소비자들은 농약, 성장촉진 호르몬 등 갖가지 첨가물이 들어 있는 수입 외국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글로벌 푸드에 대항하는 로컬푸드 운동은 농민들이 생산한 먹을거리를 가능한 한 그 지역 안에서 소비해 먹을거리의 이동거리를 줄이면서 생산자와 소비자의 관계도 맞대면으로 바꿈으로써 ‘식품 안전’과 ‘가격 안정’을 보장받자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생협운동, ‘채소 꾸러미’사업, 도시 농업, 도농 직거래 등 다양한 형태로 로컬푸드 운동이 전개돼왔다.
최근 주목되는 것이 ‘채소 꾸러미’ 사업이다. ‘채소 꾸러미’는 사업단별로 수백에서 수천명의 소비자 회원을 대상으로 회원농가에서 생산된 채소, 과일, 발효식품, 달걀, 간식거리, 음료, 두부, 각종 가공식품 등으로 짜여 진다. 매주 받는 경우 6만~10만원, 격주는 3만~5만원이다. 현재 ‘채소 꾸러미’사업을 하고 있는 곳은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과 전국여성연대가 벌이는 ‘언니네텃밭’, 사회적기업 흙살림의 ‘유기농 흙살림’ 전북 완주시와 로컬푸드 영농조합법인 건강한 밥상의 ‘건강밥상 꾸러미 사업’, 강원도 춘천시의 ‘생명이 꽃피는 밥상 사업’ 등이 있고, 전국적으로 계속 확산되고 있다. 완주시 ‘건강밥상 꾸러미 사업’은 작년 10월 114명 회원으로 사업을 시작했는데 3월 말 회원 수가 2500명으로 늘었다. 행정안전부, 농림수산식품부와 지방자치단체들에서도 ‘농산물 꾸러미 사업’을 도농상생의 유력한 모델로 보고 확대에 노력하고 있다.
지역 농가경제 활성화 기여
채소 꾸러미 사업의 장점은 많다. 첫째, 생산자들을 알고 믿을 수 있는 지역의 제철 농산물과 전통 먹을거리를 제공받고 건강한 식생활을 할 수 있다. 둘째, 유통거리가 단축돼 저렴한 가격에 믿을 수 있는 먹을거리를 얻을 수 있다. 일반 농가에서 마트로 진열될 때까지 4~5곳의 유통경로로 농가 판매가격에 비해 마트의 소비자 구입가격은 2~3배에 달하는데 채소 꾸러미사업은 운송비와 관리비가 최소한으로만 소요된다. 셋째, 매주 1~2시간이 넘는 장보기 시간을 줄여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넷째, 환경 파괴를 줄인다. 다품종 소량생산이고 수송거리가 짧으니 에너지 소비가 적다. 다섯째, 지역 농가경제도 살릴 수 있다. 친환경 농법을 이용해도 판매할 곳이 마땅히 없었고, 할아버지 할머니가 소일거리로 직접 기른 채소나 과일은 양이 적어서 팔 곳이 마땅치 않았는데 채소 꾸러미 사업에 참여하면 지자체와 영농조합법인에서 판매처를 주선해주니 마음 놓고 농사짓고 소득을 올릴 수 있다.
농산물 양 안정적 확보 과제
향후 채소 꾸러미 사업의 안정적 발전을 위해서는 먼저 소비자가 원하는 농산물을 직접 선택해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소비자 연령별, 기호별 요구 조건을 수렴해 다양한 꾸러미 내용을 제공하는 등 소비자의 요구에 더욱 잘 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늘어날 주문량에 부응해 필요한 안전한 농산물 양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도 쉽지 않은 과제다. 유기능 인정을 강화하고 계약재배 방식 등을 모색해야 한다. 지역의 농민단체들과 시민사회단체들은 지방자치단체와 지역 대학 등과의 협력을 강화해서 모처럼 조성되고 있는 유리한 농업회생 기회를 잘 활용해야 할 것이다.
* 이 글은 한국농어민신문 2011년 제2332호에 실린 내용입니다.
- 첨부파일1 장상환.jpg (용량 : 10.0K / 다운로드수 : 113)